2015년 1월 14일 수요일

펀드의 종류5 운영에 따른 분류

운용전략에 따른 분류
패시브 펀드
패시브 펀드(Passive Fund)란 초과수익 보다는 안정적인 기준치만큼의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로 특정 지수를 따라 가도록 설정된 인덱스펀드를 말합니다. 지수만큼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게 특징입니다.
따라서 펀드매니저 개인의 역량보다는 운용사의 지수복제기술과 운용시스템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 펀드는 개별 종목을 일일이 분석하지 않고도 시장 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고 운용이 투명하며 지수대비 수익이 부진할 가능성이 적다는 점 등이 인덱스 펀드의 장점입니다.

인덱스 펀드는 시장과 동일한 수준의 분산투자로 개별 종목의 비체계적인 위험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고, 매매 회전률이 상대적으로 적어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을 뿐 아니라 포트폴리오 구성 등 운용의 투명성이 보장되는 것 또한 장점입니다.

인덱스펀드와 비슷한 상품으로 상장지수펀드(ETF)가 있습니다. KOSPI200처럼 특정 지수와 연동이 되는 지수 연동형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해 일반 주식처럼 매매하는 투자상품을 말합니다. ETF는 거래소에 상장돼 있기 때문에 증권사에서 주식거래 계좌를 개설하면 홈트레이딩시스템(HTS)나 증권사를 통해 개별종목처럼 자유롭게 본인이 원하는 가격에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 펀드 투자와 달리 가입이나 해지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어서 간편하며 매매시 거래세(주식 0.3%)가 면제되는 장점도 있습니다. 또 주식형펀드에 비해 운용보수(연 0.52% 가량)도 저렴합니다.

액티브 펀드
액티브 펀드(Active Fund)란 펀드매니저가 시장의 상황에 따라 주식편입비율과 투자종목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전체 주식 중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강세장이 기대되면 주식편입비율을 높여 수익을 늘리고, 반대로 약세장이 예상되면 주식편입비율을 줄여 주식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는 펀드를 말합니다.

액티브 펀드는 기준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고 만들어진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위험수준 하에서 최대의 수익을 얻고자 하는 펀드인 것입니다.

출처 : 펀드닥터

댓글 없음:

댓글 쓰기